환일본해(환동해)지역의 사회환경 데이터베이스
         
    동북아시아지역 자치단체연합 환경분과위원회 소개
    4 동북아시아자치단체연합 환경분과위원회의 개요   4 제5회 환경분과위원회 개최개요   4환경분과위원회의 프로젝트  
 
(1)해양 환경
수질
 한국에서는 적절한 연안관리를 위해서 전국의 연안 지역을 10지역(광역권)으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습니다. 1990년 이후 각 광역권의 수질상황(COD)은 대개 변화가 없고 완만한 감소 경향을 나타내고 있고 한국의 환경기준과 비교해 보면 수질 Ⅱ등급(2mg/L이하)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추이되고 있습니다.
적조 등
적조 발생건수와 피해액의 추이
구분
발생건수 피해액
(1억원)
1992년 27
194
1993년 38 84
1994년 29 3
1995년 65 765
 한국에서 적조가 처음 공식으로 기록된 것은 1961년 10월에
진동만에서 발생한 적조로 되어 있습니다.
 1970년대에 들어서 진해만 주변에서도 적조가 발생하게 되어 1981년이
지난 무렵부터는 보다 광범위하고 장기에 걸쳐 확인 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1995년에 경상남도 통영연안, 남해연안 전지역,
동해 남단의 포항 지역에서 발생한 적조는 규모가 커서 어업 생산에
막대한 피해를 내고 있습니다.

해안선의 상황
 한국이 관리하는 수역은 약 77%가 대륙붕상에 있는 비교적 얕은 바다로서 연안부에는 국토 면적의 약 3%에 해당하는 간석지(갯뻘)이 펼쳐져 있습니다. 그러나 분포는 주로 서해안에 집중해 있고 나머지는 남해안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동해안에는 간석지가 보이지 않습니다.

(2)하천 환경
수질
 수도 서울은 1950년대에 들어 급속한 발전을 이루어 지금까지 다양한 도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왔습니다.
수질오탁도 그 하나로서 시내를 흐르는 한강의 수질은 서서히 악화되기 시작해 1980년대 후반에는
BOD가 수질기준 주의Ⅴ등급(10mg/L 이하)조차 만족할 수 없는 상황이 되고 있습니다.
  그 후 1990년에 수질환경보전법이 제정되어 폐수 기준이나 각종의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수질은 점차
좋아져서 Ⅲ등급의 수질 레벨에까지 개선되어 왔습니다. 다른 하천에 대해서는 1985년 이후 영산강은 Ⅱ등급,
낙동강, 금강은 대개 Ⅲ등급의 수질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주의:수역의 수리목적과 보호목적에 따라 이것을 Ⅰ종류에서 Ⅴ종류라는 5개의 종류로 분류하여
            각각 바람직한 수질의 기준치가 정해져 있습니다. 또한 BOD에 대해서는 Ⅰ종류에서 Ⅴ종류까지
            순서대로 연평균치가 1,3,6,8,10mg/L 이라는 기준치가 정해져 있습니다.
하수처리 상황
 1998년 현재 한국의 하수처리시설은 114개소(계획처리능력 1,662만 톤/일)이 정비되어 보급율은 66%가
되고 있습니다. 또한 처리방식은 2차 처리가 주체로 주로 활성오니법이 채용되고 있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광주, 대구 등 도시지역에서의 정비가 진행되는 한편, 지방에서의 정비는 많이 늦고 있어
전라남도 등은 11%에도 못 미친 상황이 되고 있습니다.
지역별 하수도 정비상황 (1998년)
하수도정비율(%) 하수도정비율(%)
전국평균 65.9%
1 서울특별시 (98.9)
9
충청북도 (59.3)
2 광주광역시 (94.2) 10
경상북도 (38.8)
3 대구광역시 (90.6) 11
강원도 (36.7)
4 대전광역시 (90.3) 12
전라북도 (34.8)
5 인천광역시 (85.5) 13
경상남도 (25.1)
6 경기도 (70.5) 14
충청남도 (22.9)
7 부산광역시 (69.4) 15
울산광역시 (19.5)
8 제주도 (61.8) 16
전라남도 (10.9)
(3)대기 환경
질소산화물
 NO2 농도는 대개 변화가 없는 완만한 증가
경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만 환경기준치를 넘는 일은
없습니다.
황산화물
 SO2농도는 1992년경까지는 환경기준치를
넘는 고농도로 추이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1990년에 제정된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대기환경의 감시체제가 강화되자 SO2농도는 서서히
기준 레벨에까지 내리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감소 경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부유입자상 물질(PM-10)
 PM-10 농도는 1995년 이후, 부산과 대전등
감소 경향을 나타내고 있지만 서울 등에서는 최근
증가 경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동북아시아지역 자치단체 등의 환경보전에 관한 정보교류 관련링크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