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해양
환경 |
수질
연안 수질 상황(2000년) |
해역
|
지점수 |
구성비 |
1류 |
2류 |
3류 |
4류 |
초4류 |
발해 |
70
|
8.5 |
50.0 |
12.9 |
15.7
|
12.9 |
황해 |
141 |
22.7 |
47.5 |
13.5 |
4.3 |
12.0 |
동해 |
120 |
0 |
20.0 |
14.2 |
19.1 |
46.7 |
남해 |
46 |
36.9 |
19.6 |
17.4 |
2.2 |
23.9 |
계 |
377 |
14.6 |
35.7 |
14.1 |
10.9 |
24.7 |
|
주의:수위의 利水ㆍ보호목적에 따라 1류에서
4류까지 4종류로 분류하여 각각 이에 따른 수질의 기준치를 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COD에 대해서는 1류에서
4류까지 차례대로 2,3,4,5mg/L라는 기준치가 정해져 있습니다. |
중국 연안부는 크고 발해, 황해, 동해, 남해의
4해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해역을 4대해역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2000년의 수질 현상을 보면 같은 종류의 수질기준을
달성한 것이 전체의 14.6%, 2류35.7%, 3류14.1%,
4류10.9%로 전체의 24.7%는 4류기준을 넘는 수질
( 超四類)이 되고 있습니다.
해역별로는 동해연안부의 오염이 많이 진행되고
있어 상해시와 절강성(浙江省)등의 연안부의
오염이 심각화되고 있습니다.
|
 |
적조등
해역별 적조 발생 상황(2000년) |
해역
|
발생면적 |
누계면적km² |
발해 |
7
|
2,000 |
황해 |
4 |
800 |
동해 |
11 |
7,800 |
남해 |
6 |
50 |
계 |
28 |
10,650 |
|
2000년에는 28건의 적조가 기록 되었으며 그 면적은
1만평방킬로미터를 넘는 규모입니다. 환일본해(환동해)
지역에서는 랴오등과 발해, 황해 북부의 연안등에서 적조가
다발하고 있습니다. |
 |
(2)하천
환경 |
수질
중국의 하천 유역은 크고 장강, 황하, 주강, 송화강, 화하, 해하, 요하라는 7개의 수계(주의1)로 나눌 수 있으며
이 강을 7대수계로 불리고 있습니다.
2000년의 수질 현상을 보면 전 관측 지점의 6할미만 수역에서는 Ⅲ종류의 수질 기준 (주의2)를 달성하고 있지만 21.6%는
Ⅳ종류, 6.9%는 Ⅴ종류의 수질이며 13.8%는 Ⅴ종류 기준을 넘는 수질(열Ⅴ종류)입니다.
유역별로는 요하, 해하, 화하, 황하, 송화강, 주강, 장강의 순으로 오염이 진행되고 있어 각 유역도 함께 도심부에의
오염구간이 집중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주의1:중국의 표층 수자원 77%가 7수계에 의존하고 있으며 중국 전인구의 90%가 7유역에서 사회경제 활동
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의2:수위의 이수ㆍ보호목적에 따라Ⅰ종류에서Ⅴ종류까지 5개의 종류로 분류하여 각각 바람직한 수질의
기준치를 정하고 있습니다. 또한BOD에 대해서는Ⅰ종류에서Ⅴ종류까지 순서대로 연평균치로서
3,3,4,6,10mg/L 라는 기준치가 정해져 있습니다. |
 |
 |
중국의 7대 수계 수질 현상
(2000년) |
유역
|
BOD연평균치(mg/L) |
장강 |
0.55~2.59 |
황화 |
1.17~3.8 |
주강 |
0.3~31.75 |
송화강 |
1.86~4.31 |
회하 |
1.43~4.43 |
해하 |
1.0~89.59 |
요하 |
1.61~32.23 |
|
|
 |
하수처리 상황
1999년 현재, 중국 도시지역의 하수도 정비 상황은 하수도 연장거리가 13만km, 처리 능력은 하루 약 2,700만m3가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급속한 인구증가와 도시화에 따른 오수의 발생량도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어 처리율은 아직도 25.8%가
되고 있습니다. 환일본해(환동해) 지역에서는 18.1~35.0% |
 |
(3)대기
환경
|
중국에서는SO2와 부유입자장물질이 대기오염의 주된
요인이 되고 있고 일부 도시에서는 자동차배기가스와 함께 복합형 오염이 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중국이 에너지의 약 75%를
석탄에 의지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여겨지며 그 높은 황함유량이 영향을 주고 있다고 봅니다.
2000년에 실시한 모니터링 결과에 의하면, 관측을 실시한 전 338도시 가운데 4할 미만의 도시는 2급 대기질기준(주의)에
달성하고 있지만 나머지 6할은 2급 기준을 넘는 상황이 되고 있어 전체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도시가 3급 기준을 넘는
상황에 있습니다.
주의:SO2와 NO2, PM-10(대기중에 부유 하는 입자장 물질 가운데 알 직경이
10μm 이하) 등에 대해서 1급에서
3급의 기준치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또한 SO2에 대해서는 1급에서 3급까지 순서대로 연평균치가
0.02,
0.06, 0.10mg/m3 이라는 기준치가 정해져 있습니다. |
 |
중국 주요도시 대기질 상황(2000년) |
구
분 |
년평균치(mg/m3) |
NOx |
SO2 |
총부유립자상물질 |
흑룡강성 |
하얼빈 |
(0.022)
|
0.029 |
0.242 |
대 경 |
0.026 |
0.008 |
0.118 |
길림성 |
길 림 |
(0.063) |
0.067 |
0.557 |
장 춘 |
(0.028) |
0.012 |
0.265 |
요녕성 |
대 련
|
0.035 |
0.017 |
0.088 |
안 산 |
0.064 |
0.076 |
0.418 |
하북성 |
석가장 |
0.090(0.057) |
0.169 |
0.431 |
당 산 |
- |
0.084 |
0.352 |
산서성 |
태 원 |
0.093 |
0.200 |
0.401 |
대 동 |
0.041 |
0.172 |
0.721 |
산동성 |
제 남 |
- |
0.059
|
0.173 |
청 도 |
0.034(0.025) |
0.055 |
0.143 |
안휘성 |
합 비
|
(0.046) |
0.013 |
0.170 |
강소성 |
남 경
|
0.048(0.037) |
0.029 |
0.107 |
서 주 |
0.044 |
0.026 |
0.323 |
하남성 |
정 주 |
- |
0.039 |
0.291 |
낙 양 |
- |
0.064 |
0.354 |
북경시 |
북 경 |
0.126(0.071) |
0.071 |
0.353 |
천진시 |
천 진 |
0.053(0.045) |
0.056 |
0.304 |
상해시 |
상 해 |
0.091(0.061) |
0.046 |
0.156 |
|
주의:NOx란의( )는 NO2농도를
나타냄. |
|
 |
 |
|